미드소마 포스터

영화 미드소마의 줄거리를 짧게 짚고 바로 결말에 대해 얘기해 보고 싶습니다. 영화가 흘러갈 수록 이야기가 도대체 어떻게 마무리 지어질지 의문인 상태에서 다니의 옅은 미소로 마무리 지어지는 결말에 대해 저를 포함한 많은 사람들이 뜨악한 표정으로 극장을 나섰을 테니까요.

 

-어두운 화면-

영화는 연락이 되지 않는 다니의 동생과 다니의 메시지로 시작을 합니다. 평소 조울증을 앓고 있던 동생이 의미심장한 메일을 남기고 전화도, 답장도 받지 않으니 애가 타는 다니는 부모님께 전화를해 음성 메시지를 남깁니다. 전화기 속에서 다니의 음성이 흐르는 동안 카메라는 곤히 잠들어 있는 다니의 부모님을 비춥니다. 불안함에 잠을 못 이루는 다니는 남자친구에게 전화해 자신의 불안을 호소하고 다시 친구에게 전화해 자신이 너무 남자친구에게 의존하는 것 같다며 또 다른 불안감을 털어놓습니다. 남자친구 크리스티안은 오랫동안 여자친구 다니와 헤어지려고 했지만 생각처럼 쉽지많은 않습니다. 친구들 역시 다른 여자를 만나라며 크리스티안을 부추깁니다.

불길한 예감은 빗나가지 않습니다. 다니의 동생은 가스 흡입으로 부모님을 살해하고, 자신 역시 자살해버립니다. 오열을 하는 다니와 그를 쓰다듬는 크리스티안. 모두 하룻밤 사이에 일어난 일입니다. 밖은 물론 실내도 어두컴컴한 화면입니다.

색감과 영상미로는 공포영화라는 느낌이 전혀 들지 않습니다.

-어두운 실내를 비추는 빛-

다니는 동생과 부모님의 죽음으로부터 감정을 추스려가지만 문득 문득 가족을 상기시키는 요소가 있으면 울음을 참지 못합니다. 오열에 가까운 그녀의 울음은 슬픔보다는 불안과 공포에 가까운 듯 합니다. 다니와 크리스티안의 관계도 아슬아슬합니다. 처참히 가족을 잃은 여자친구와 쉽게 헤어질 수 없는 크리스티안. 홀로 남겨지는게 두려워 필사적으로 크리스티안에게 맞춰주는 다니. 쉽지 않은 관계입니다. 이들의 일상에 터닝포인트가 될 수 있는 일이 일어납니다. 친구들과 함께 스웨덴 하지제를 보러 여행을 떠나기로 한 크리스티안이 얼결에 다니를 초대해버립니다. 이때까지도 화면은 대체적으로 어둡지만 어두운 공간에 밝은 빛이 스며들어오는 장면이 많습니다. 

 

-눈이 부시도록 밝은 야외공간-

스웨덴에 도착한 이들. 그들을 따라가는 카메라 무빙은 세상이 뒤집혔음을 암시합니다. 이 때부터 눈이 시릴정도의 밝은 장면이 이어집니다. 페레의 공동체 마을에 도착함과 동시에 이들은 대마와 버섯차를 즐깁니다. 이 공동체에는 뒤에도 지속적으로 환각제를 사용하는 장면이 많은데, 이 부분이 바로 지역의 토속신앙, 오컬트 적인 부분을 강조한 게 아닌가 싶습니다. 초대받은 외부인들은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이 때부터 현실과 환각을 혼동하기 시작하고 정신과 육체가 이곳 사람들에게 휘둘리기 시작하는 시점입니다. 

5월의 여왕이 되어 권력을 쥔 다니.

다시 줄거리로 돌아와, 논문을 위해 펠레의 초대로 이곳에 방문한 크리스티안과 친구들 그리고 다니. 런던에서 머무는 펠레의 형이 초대한 런던의 커플. 이 여섯 외부인들은 공동체를 최대한 존중하며 그들의 문화를 받아들이려는 노력을 합니다. 그들의 모습은 딱히 낯설지는 않습니다. 누구나 문화권이 다른 외국에 나갔을 때, 그곳의 문화를 존중하고,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는 다른 여행자들의 모습과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그런 그들의 태도가 갈리는 시점은 두 노인이 절벽에서 떨어져 삶을 마치는 장면부터 입니다. 런던의 커플은 충격으로 심한 반발을 일으키며 그곳을 떠나려 하지만 크리스티안의 몇몇 일행, 특히 조쉬는 심지어 그들이 뛰어내릴걸 알기까지 했습니다. 하지만 조쉬의 태도는 그들의 문화를 존중해야 한다는 쪽에 가깝습니다. 여기서 감독이 말하고자 하는 하나의 포인트가 있는 듯 합니다. 그들의 문화에 고함을 치며 잘못됐다고 하는 런던 커플의 태도가 옳을까요, 아니면 그들이 오랜 시간 동안 고수해온 문화이니 외부인의 입장에서는 받아들여야 한다는 조쉬의 태도가 옳을까요.

공동체의 이해할 수 없는 부분은 계속, 점점 그 강도가 심해집니다. 그들이 신성시 여기는 경전은 아무 의미 없어보이는 듯한 그림을 누군가가 해석한 것에 불과하고, 음식에서는 알 수 없는 재료들이 등장합니다. 외부인들은 하나 둘 씩 사라져 행방이 묘연해지고, 해가 지지 않는 하지인 탓에 시간 감각도 흐려집니다. 

이와 동시에 다니는 다른 누구보다 적응을 잘 하는 듯 합니다. 크게 트러블도 없고, 공동체의 일원으로써 해야하는 노동도 잘 참여합니다. 그녀는 축제의 하이라이트에서 메이퀸으로 뽑히기까지하며 공동체의 중요한 일원으로 자리잡아갑니다. 외부인에서 점점 공동체의 권력을 쥔 사람으로 위치가 바뀝니다. 이 공동체 문화에 융화되지 못한 다른 이들은 점점 제거되어 갑니다. 마지막으로 남은 외부인인 크리스티안은 다니가 손수 선택해 제거합니다. 외부인들은 모두 제물로 바쳐져 불에 태워지는 동안 이곳의 여왕이 된 다니는 드디어 자신의 가족과 공동체속에 융화되어 기쁨의 미소를 짓습니다. 

원하는 바를 쟁취한 듯한 그녀의 미소

미드소마에 대해 분명히 말 할 수 있는 것은  이 영화는 공포영화가 아니라는 것입니다. 그 어떤 악령이나 귀신, 과학적으로 설명할 수 없는 일이 등장하지는 않습니다. 오히려 굉장히 있을 법한 일인듯 합니다. 혹자는 정신적으로 안정적이지 못한 사람이 사이비 종교에 빠지는 과정을 현실적으로 그렸다고 표현했습니다. 하지만 저는 사이비 '종교'라는 단어가 담지 못하는 요소가 분명히 있다고 생각합니다. 바로 공동체, 즉 가족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현대의 모습처럼 신앙심만 있는 것은 아닙니다. 일상에 녹아있고, 종교 자체가 삶의 중심이 되어 굴러갑니다. 더불어 다니에게 부재했던 요소는 가족입니다. 스웨덴의 이 공동체가 바로 다니에게 부재했던 부분을 완벽히 채워줌으로 인해 다른 윤리적, 문화적, 사회적 요소는 다니에게 저 이상 중요한 요소가 아니게 됩니다. 미드소마는 가벼운 마음으로 보기에는 어려운 영화지만 생각할 거리도, 신선한 충격도 가득해 뻔한 스토리에 이골이 났다면 추천하는 영화 입니다. 

+ Recent posts